내 실수는 평범한 것, 즉 "당신에게 가장 중요한 때는 지금 이 시간이며, 당신에게 가장 중요한 일은 지금 하고 있는 일이며, 당신에게 가장 중요한 사람은 지금 만나고 있는 사람이다." (레프 톨스토이) 라는 사실을 망각한 것이다. 우리는 그 중요한 '지금'을 놓치면서 산다. 우리는 중요한 것은 지금 하고 있는 일이고, 중요한 사람은 지금 만나는 그 사람이라는 사실을 놓치고 항상 뒤늦게 후회한다. ⓒ 장석주, 단순한 것이 아름답다. 문학세계사.
독립을 위해 목숨을 바친 많은 분들 덕분에 이렇게 편하게 살아가고 있다는 걸 잊지 않아야겠다 싶습니다. [대한 독립 만세] 나윤희 - 고래별 2 표지 백정이 되라면 되고, 작부가 되라면 되겠습니다. 목숨을 버리는 것은 그보다 쉬운 일이지요. 대한 독립 만세. ⓒ 나윤희, 고래별 2. [대한 독립 만세] 나윤희 - 고래별 2, 손글씨
주변의 온도를 올려 주는 음식들이 있다. 어디선가 풍겨 오는 군고구마 냄새, 학교 마치고 집으로 들어왔을 때 어머니가 만들고 계신 김치찌개, 이른 아침 1층 빵집에서 풍겨 오는 빵 굽는 냄새.... 이런 것들은 주변 온도를 3도 정도는 올려 주는 것 같다. ⓒ 강가희 - 이제, 당신이 떠날 차례 책밥 작가님의 글을 보고 갓 구운 빵이 어찌나 생각나던지요. 당장 사러 갈 수도 없어서 빵 이미지로 대신합니다. 빵 사진만 봐도 고소하고 달콤한 냄새가 납니다.
새들은 적게 먹고 적게 배설한다. 자연에서 낭비란 범죄라는 사실을 깨닫고 있는 부류다. 새들은 날기 위해 제 뼛속까지 비운다. 벌집은 최소한의 밀랍으로 그것을 가장 튼튼하게 받칠 수 있는 각도로 만들어져 있다. 새의 뼈나 깃은 최소한의 체중으로 가장 큰 힘을 날개에 실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. 자연은 낭비를 배제하는 방식으로 진화했다. 새들은 제 욕망을 채우느라 삶을 잃는 어리석음에 빠지지 않는다. ⓒ 장석주, 단순한 것이 아름답다. 문학세계사.
인문학 강연을 할 때 가장 기쁜 시간은 독자들의 눈빛이 바뀌는 순간이다. 고민 많은 눈빛을 숨기지 못하는 독자들이 내 강연을 듣는 동안 뭔가 깨달은 느낌을 받는 순간. 강연을 들으며 ‘삶을 이렇게 바꿀 수 있겠구나' 하는 희망을 가질 때, 나 또한 커다란 보람을 느낀다. • 정여울, 이승원 - 가장 좋은 것을 너에게 줄게 이야기장수 나도 내 일상에서 사람들의 눈빛이 밝아지는 순간을 만들어보고 싶다. 누군가에게 작은 도움을 주거나 격려의 말을 건네며, 그들의 삶에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내는 것이 중요하다. 이를 통해 나도 보람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.
댓글
네이버 공유하기
댓글 쓰기